소위 음악을 즐긴다는 사람들―필자의 경우에는 클래식―의 음악 감상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공연장에 가서 직접 듣는 것. 그러나 이 방법은 우선 그 공연이 열릴 때와 본인의 시간이 맞아야 하고(대부분의 공연들은 기껏해야 이틀 열리니), 가격도 만만치 않다. 필자 같은 가난한 음악 애호가들은 외국 유명 오케스트라나 지휘자가 오면 그 엄청난 가격에 눈물을 머금고 포스터만 쳐다볼 수밖에 없으며, 국내 공연도 저 멀리 3층에서 ‘1층이나 3층이나 똑같은 음악이 흐른다’를 위안 삼아 보이지도 않는 연주자들을 실눈을 떠가며 보기 마련이다.
그 다음 방법이 CD를 사서 집에서 듣는 방법. 아무 때나 본인이 편한 시간에 감상할 수 있고, CD 값도 요새 많이 싸진 데다 한번 사면 반영구적이니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한 가지 문제점이 있으니, 제대로 된 음악을 들으려면 주변 기기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는 것. 그리고 좀 괜찮은 스피커들은 100만 원이 훌쩍 넘어가는 경우가 다반사다. 역시 클래식 애호가인 필자의 남편은 과감히 질렀고, 필자의 잔소리를 한동안 감수해야 했다(물론 지금은 필자도 잘 듣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세 번째 방법이 음악 영화를 보는, 그리고 듣는 것이다. 이때는 필히 사운드 시설이 잘되어 있고, 스크린도 큰 대형 극장에 가는 게 필수적이다. 평소에는 멀티플렉스의 횡포에 대해 온갖 불평과 불만을 늘어놓는 필자도, 음악 영화를 보러 갈 때는 멀티플렉스의 첨단 시설에 대한 애찬론자가 되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에 놓인다. CGV의 커다란 스크린에서 입체 음향으로 <카핑 베토벤>(2006)의 하이라이트인 ‘9번 교향곡 합창(Symphony No.9 in D minor, Op.125 - Choral)’의 초연을 볼 때(그리고 들을 때)의 그 가슴 떨리는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
음악 영화를―뮤지컬 영화는 제외하고―편의상 음악가의 전기 영화와 영화 음악이 주가 되는 영화로 나눌 수 있다면, <카핑 베토벤>은 전자, <원스>(2006)는 후자에 속할 것이다. <카핑 베토벤>이 ‘베토벤’이라는 한 음악가의 생애 어느 한 시기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그의 음악들을 들려주는 식이라면, <원스>는 음악 위에 내러티브가 얹어가는 독특한 방식을 취한다. 즉 음악이 먼저고, 그것에 맞춰 이야기가 흘러가는 것이다.
결국 안나 홀츠는 ‘대푸가’를 이해한다. 그리고 영화의 맨 처음 ‘대푸가’가 흐르는 가운데 마차를 타고 달리는 안나가 창밖의 풍경과 음악의 조화에 대해 온몸으로 느끼는 장면이 다시금 환기되는 것이다. <원스>에서 음악과 내러티브가 완벽히 하나로 녹아든 것처럼, <카핑 베토벤>의 이 첫 장면은 음악과 이미지가 명실 공히 하나가 된 보기 드문 광경이다.
이 밖에도 <카핑 베토벤>에는 주옥같은 베토벤의 여러 음악들이 나오지만, 역시 가장 뇌리에 남는 것은 앞서 말한 ‘합창’과 ‘대푸가’이다. 특히 교향곡에 성악을 삽입한 ‘합창’은 그 당시는 말할 것도 없고, 지금 기준으로도 혁신적인 곡이다. 영화에서 베토벤은 온갖 기행을 행하는 괴팍한 인간으로 나오지만, ‘합창’을 작곡하고 연주할 때만큼은 더할 나위 없이 진지한 초인(超人)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신이 자신을 통해서 음악으로 말한다고 안나에게 말하는데, 그렇다면 ‘합창’은 신의 가장 아름다운 언어 중 하나일 것이다. 70분이 넘는 연주 시간에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네 명의 독창자와 합창단이 가세하는 방대한 스케일 때문에 종종 그 유명한 ‘환희의 송가(Ode an die Freude)’가 나오는 4악장만을 따로 떼어 연주하곤 하는데, 그건 근사한 정식 코스요리에서 앞의 애피타이저랑 주 요리는 생략하고 디저트만 먹는 행위나 마찬가지다.
고요하게 시작하다 ‘운명’에 버금가는 웅장한 선율이 터져 나오는 1악장에 이어, ‘Molto vivace(빠르고 생기 있게)’라는 뜻 그대로 경쾌하면서도 선율이 춤추는 듯한 2악장. 그리고 느리게(Adagio) 흐르면서 너무나 아름다워 슬픈 3악장에 바로 이어지는 4악장은 슬픔 뒤의 기쁨과 환희가 얼마나 강렬한지를 생생히 느끼게 해준다. 격렬한 첫 선율로 4악장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환희의 송가’의 주제 선율이 고요하게 흘러나오다 빠른 템포로 이어진다. 그리고 먼저 베이스의 선창이 있은 후, 네 명의 독창자들이 입을 모아 주거니 받거니 ‘환희의 송가’를 부른 다음 합창단의 노래가 이어진다. 필자는 오케스트라와 인간의 목소리가 이렇게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환희의 송가’를 들으며 ‘환희의 눈물’을 (마음속으로) 흘리곤 했다.
그러니 거의 15분에 다다르는 ‘합창’의 연주 장면이 나오는, 특히 4악장에만 할애하지 않고 전 악장(특히 3악장)을 조금씩 다 들려주려고 노력한 <카핑 베토벤>은, 필자에게 있어 최근 겪은 가장 짜릿한 영화 체험이 아닐 수 없다. 영화를 보기 전에 필히 ‘합창’을 먼저 들을 것을 권하는 바이다. 굳이 유명 오케스트라의 CD를 살 필요도, 고가의 스피커를 구입할 필요도 없다.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듣는다고 뭐라 하지 않는다. 들어라. 그리고 <카핑 베토벤>을 만나라.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게, 아니 귀를 열게 될 것이다.
'필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카우트] 엄지원이 돌아왔다! (0) | 2007.11.19 |
---|---|
[데드 걸] 잊지 못할 그녀의 함박웃음 (6) | 2007.11.15 |
[카핑 베토벤] 신의 가장 아름다운 언어 ‘합창’ (0) | 2007.11.12 |
[M] 꿈을 꾼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1) | 2007.11.12 |
뜨거운 피가 흐르는 [투야의 결혼] (0) | 2007.11.09 |
진실을 돌려서 말하기 [별빛속으로] (0) | 2007.11.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